우리몸을 지키는 건강정보의 모든것

헌혈? 헌혈의 종류와 헌혈을 할 수 없는 경우는?

minseong1 2019. 7. 14. 23:12
반응형

 

혹시 이 글을 읽는 분들 중에 헌혈을 한번이라도 안해본 분들이 있으신가요? 물론 나이가 어린 아이들은 하면 안되지만, 모처럼 헌혈의 집을 보고 가서 할려고 했는데 거절을 당한 분들도 있을 겁니다.

 

현혈은 왜 중요하고 헌혈이 어째서 필요한가요?

 

의료 현장에서는 질병이나 부상으로 혈액이 필요한 사람에게 수혈하는 장면이 있습니다.

 

하지만 오늘날처럼 의료 기술이 발달되 있어도, 인공적으로 혈액을 생성 할 수 없습니다. 그래서 필요하게 되는 것이 헌혈입니다.

 

수혈에 사용 혈액 제제는 헌혈에서 제공 한 살아있는 세포의 혈액을 기반으로 만듭니다. 따라서 헌혈로 얻은 혈액은 장기적으로 저장할 수 없으며, 수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혈액이 항상 부족하게 된 이유입니다.

 

우리나라에도 헌혈의 집이 있고 영화상품권등 다양한 유도를 통해서 헌혈을 유도하는 것도 이 이유입니다.

 

헌혈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?

 

헌혈과 한마디로 말해도,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. 우선 크게 "전혈 헌혈 ''성분 헌혈 '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 

전혈 헌혈

전혈 헌혈은 그대로 혈액을 제공하는 헌혈입니다. 혈액의 특정 성분만을 채취하는 것은 아닙니다.

 

320-400 ml 전혈 기증

400 ml 전혈 헌혈을 한다면, 남자 50kg 여자 45kg 이상 체중이 필요합니다.

 

400 ml 전혈 헌혈이 필요한 이유 예를 들어, 800 ml의 수혈이 필요할 경우 4 명에서 200 ml 씩 제공받는 것보다 2 ~ 400 ml 씩 쪽이 수혈되는 환자 씨에게 부작용이 적다는 점을 수 있습니다.

성분 기증

성분 헌혈은 혈액의 혈장혈소판라는 성분만을 제공하는 헌혈입니다. 수혈 환자에게도 불필요한 성분이 몸에 들어 가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.

 

또한, 성분 헌혈은 성분에 따라 "혈장 성분 헌혈 ' '혈소판 성분 헌혈 ' 로 나누어 져 있습니다.

 

"플라즈마"는 혈액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, 체내의 각 장기에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고 노폐물은 신장에 운반 등의 역할이 있습니다.

 

'혈소판'에는 혈관이 찢어진 때 혈관을 막는 역할을합니다.

 

성분 헌혈에 관해서도 체중에 제한이 있습니다. 여성은 40 kg 이상, 남성은 45 kg 이상이 필요합니다.

 

 

그러면 헌혈을 할 수 없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?

 

사실 헌혈은 누구나 할 수는 없습니다. 위에서 언급 한 바와 같이, 나이, 성별, 체중에 따라 달라지고 그 외에도 다음에 해당하는 분은 헌혈을 거절 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
 

1.특정 질병에 걸린 적이있는

 

2.과거에 수혈이나 장기 이식을받은 적이있다

 

3.에이즈, 간염 등의 바이러스 보유자 또는 의심되는 분

 

4.임신, 수유중인 발열 중 등

 

5.복약 중 (약물의 종류에 따라)

 

6.과거에 태반 주사 약물 사용했던 적이있다

 

7.AGA 치료 피나스테라이드를 복용 중

 

8.3 일 이내에 출혈을 수반하는 치과 치료 (발치, 치석 제거 등)을 받은 사람

 

9.일정 기간 내에 예방 접종 (예방 접종의 종류에 따라)

 

10. 4 주 이내에 해외에서 귀국 (입국) 한 사람

 

위와 같은 경우는 헌혈을 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
 

위에서 말한대로 아무리 의학기술이 발전해도 사람의 피는 현재의 기술로는 만들 수 없습니다. 우리나라도 많은 량의 피를 해외에서 수입하는 나라입니다. 적극적으로 헌혈하는 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을 살리는 애국일지도 모릅니다.

 

반응형